목록쥐눈이콩 (9)
Vegan Life
[식품미(味,美)학] 검정 약콩의 의미와 구별법 검정콩이 좋다고는 하는데 왜 좋은지, 검정콩이면 다 좋은건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필요합니다. 검정콩에는 서리태, 서안태, 서목태 세가지가 있습니다. 서리태는 굵기가 굵은 검은콩이고 서안태와 서목태는 쥐눈처럼 작은콩입니다. 서안태는 검정콩껍질을 벗기면 노란색이고 서목태는 초록색입니다. 서목을 한자풀이하면 쥐의 눈입니다. 서생원(쥐)의 눈처럼 생겼다고 해서 쥐눈이라고 하는데 이 작은 쥐눈이콩의 검정껍질안의 속살이 초록색인 콩이 비로소 쥐눈이콩이 진짜 서목태입니다. 서목태(쥐눈이콩)는 곡식중에서 신장을 위해 존재하는 짠맛식품으로 신장방광을 건강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약콩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검정콩이 좋다는 진정한 의미는 쥐눈이약콩이라고도 불리..
[식품미(味,美)학] 쥐눈이약콩 메주, 된장, 간장, 청국장 쥐눈이콩은 콩류중 유일한 짠맛으로 9회죽염에 필적할 만큼 水氣를 만드는 좋은 재료입니다. “쥐눈이콩”의 대단한 역할의 식재료를 두고 왜 대부분 “대두”로만 장류를 만들까요? 황제내경에 의하면 신장방광에서 수기를 만드는 재료는 짠맛식품이며 그 대표적인 식품이 쥐눈이약콩이죠. 대두로 식습관을 들여온 세월동안 대두로 만든 장류의 컬러와 맛에 익숙해졌지만 이제라도 쥐눈이콩으로 식재료를 바꾸어 좀더 검은 컬러와 맛에 익숙해지면 건강을 위해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대두와 컬러와 맛과 식감이 좀 다르지만 다른대로 맛도, 식감도 좋습니다. 된장 간장을 직접 담은 분들을 위해 쥐눈이콩 메주가 준비되어 있고 장류를 사드시는 분들을 위해서는 이미 3회죽염으로 만..
[음식의학] 쥐눈이콩(서목태)의 가치와 쥐눈이콩으로 만들 수 있는 식품 검은콩이 좋다고요?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검은콩 중에서도 쥐눈처럼 생긴(쥐눈이콩) 서목태가 신장방광에 좋은 짠맛식품입니다. 그래서 약콩인거죠. 6장6부중 신장은 다른 장부들과 연결되어 있어 신장이 건강해야 다른 장부도 건강합니다. 쥐눈이콩은 9회죽염과 더불에 신장방광에 좋은 최고의 짠맛 식품입니다. 국민식품인 두부, 청국장, 된장, 간장, 콩비지, 콩국수, 메주, 콩나물 등을 쥐눈이콩으로 만든다면 최상의 식품이 됩니다. 여기에 소금을 9회죽염으로 사용하면 완전 프리미엄 럭셔리 식품이겠지요. 그런데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중 쥐눈이콩으로 만든 식품은 찾기가 힘듭니다. 추측에 의한 이유는, 첫째, 쥐눈이콩이 신장에 좋은 짠맛이라는 것을 ..
[음식의학] 몸의 욕구를 잠재우는 6곡식의 힘 氣가 부족하면 허기(虛氣)집니다. 기가 부족하여 허기지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배고픔입니다. 몸에서 기를 만드는 장부는 6장6부이고 이들이 각각 한 개씩의 氣를 만드니 이를 6氣라고 합니다. 6기가 부족하면 6장6부의 원성과 욕구로 인한 통증으로 몸이 시끄럽습니다. 시끄러운 몸의 욕구를 채워서 평화롭게 마드는 방법은 6氣를 만드는 6味의 6곡식(6穀食=씨앗)이 가장 강력합니다. 간장담낭에서 만드는 木氣 신맛재료 “적두(팥)” 심장소장에서 만드는 火氣 쓴맛재료 찰수수” 비장위장에서 만드는 土氣 단맛재료 “찰기장” 폐장대장에서 만드는 金氣 매운맛재료 “현미” 신장방광에서 만드는 水氣 짠맛재료 “쥐눈이콩” 심포삼초에서 만드는 相火氣 떫은맛재료 “녹두” 6곡생식, 6..
[식품미(味,美)학] 진짜 약콩을 고르는 방법과 약콩인 이유 검정콩의 가치를 인식하고 많은 가공식품들을 만들고 있습니다만… 검정콩중 어떤 검정콩이 좋은지 왜 좋은지는 분명하지 않은 듯 합니다. 검정콩은 서리태와 서목태가 있습니다. 서리태는 콩알이 크고 서목태는 콩알이 작으며 이름그대로 쥐의 눈처럼 생겼다고해서 쥐눈이콩이라고도 합니다. 서목태의 검정 콩껍질을 벗기면 노란색과 녹색 두가지가 있는데 노란색은 서안태라고 하고 녹색콩이 진짜 서목태입니다. 이 녹색의 서목태를 약콩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서목태가 신장방광을 건강하게 해주는 유일한 짠맛 곡식이기 때문이며 그래서 진짜 약콩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된장 간장 청국장, 두유, 콩조림, 콩나물, 콩국물도 서목태로 만들면 그 의미가 더해질 것입니다. 서목태는 ..
[음식의학] 신장방광(水氣)과 간장담낭(木氣)의 상생관계(水生木)를 돕는 음식사례 수생목을 한다는 것은 수기를 만드는 짠맛 음식을 섭취하면 목기를 만드는 간장담낭이 건강하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 소금에 절인 매실(신맛), 2. 죽염간을 간간하게 한 쥐눈이콩(짠맛)국수(밀:신맛) 3. 죽염 + 유기농원당 + 식초(또는 구연산)으로 만든 무우 또는 오이픽클 4. 소금간(짠맛)을 한 팥죽(신맛) ** 단맛(토기)을 넣은 팥죽(목기, 신맛)은 목극토하여 팥죽의 신맛이 비위장을 극하는 것을 단맛이 방어해주는데 이때 팥죽의 신맛이 극을 하는 독이라면 단맛이 해독제역할을 함. 결론적으로 간장담낭의 문제를 갖고 계신 분의 음식은 신맛을 위주로 드시되 간장담낭을 생하는 쥐눈이콩이나 짠맛의 음식을 추가하면 ..

[음식의학] "9회죽염 쥐눈이(서목태)콩국수"의 음식의학적 가치 쥐눈이콩은 황제내경에 근거 신장방광에 좋은 짠맛 곡식입니다. 대부분 곡식에는 껍질에 영양분이 가장 많습니다. 영양가득한 콩껍질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콩국물을 만들되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진한 국물을 만들고 9회죽염으로 간을 한다면 신장방광을 위한 최상의 콩국물이 됩니다. 고전의학 황제내경에 의하면 신장방광과 간장담낭은 서로 상생관계에 있습니다. 신장방광(水氣)에 좋은 음식을 먹으면 수생목을 하기 때문에 간장담낭(木氣)에도 좋습니다. 국수는 대한민국 단 한군데서만 만드는 진짜 토종 앉은뱅이밀국수로 한다면 더 완벽한 영양의 조합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식당에서 이런 재료로 콩국수를 제공하려면 왠만한 철학이 아니고서는 팔기가 힘들 것입니..
1. 쥐눈이콩은 황제내경에 근거 신장방광에 좋은 짠맛 곡식 2. 영양가득한 콩껍질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 3. 최상의 품질 9회죽염사용; 국수에 말을때 간간해지도록 콩국물을 짭짤하게함 4. 불소(F) 없는 생수사용 5.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진한 국물 6. 재활용할 수 있는 최고급 볼메이슨 병사용 콩국수용 9회죽염 쥐눈이콩국물 1L 15,000원(2~3인분) (여름 냉장포장시 2,000원 추가, 5만원 미만 배송료 2,750원 추가) 1. 쥐눈이콩 300g 2. 콩을 불릴 물의 양 600g 3. 불린 쥐눈이콩 630g 4. 삶을때 넣은 물의 양 700g 5. 삶은 쥐눈이콩 무게 688g 6. 믹서에 갈때 넣을 물의 양 1,032ml 불린 쥐눈이콩 무게 기준 1.5배 ** 물: 불소(F)없는 생수 7...
[바디생명과학] 신장기능 활성화를 위한 식품, 그 불편한 진실과 마주해야 하는 시점 신장은 나이가 들면 필터역할을 하는 사구체가 딱딱해져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혈액속 노폐물인 요소도 잘 걸러지지 않습니다. 소변이 잘 걸러지지 않으면 물이 몸을 붓게 하거나, 폐에 물이 차거나, 복수가 만들어 지기도 합니다. 장부중 가장 근본이 되는 신장 건강을 위해 짠맛 식품을 제시하는 고전의학적 해결책이 저염 또는 무염식을 주장하는 현대의학에서는 불편한 진실이 될 수도 있겠지만 진실은 진실일 뿐입니다. 저염식을 해서 신장이 회복된 경우는 없습니다. 인공신장투석은 신장의 기능을 완전 폐기처분하는 결과일 뿐 답이 아닙니다. 짠맛, 지린맛 식품섭취가 신장 회복의 지름길입니다. 소금섭취가 두렵다면 신장건강을 위한 대표식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