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구연산 (17)
Vegan Life
[음식의학] 자신도 모르게 한숨이 나오는 이유 스스로도 의식하지 못한채 저절로 한숨이 나오는 것은 무언가 마음에 근심이 있다는 것이고 애끓는 마음으로 인해 간장에 열이 생겨 애간장이 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음의 근심이 되는 사유가 분명할 때는 스스로도 근심의 내용이 인지가 되지만 때로는 마음이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교묘한 상태로 서서히 애간장을 녹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음에 숨겨져 드러나지 않는 근심은 한숨으로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신도 모르게 한숨을 쉴 때는 마음속에 숨겨져 있는 마음의 불편함을 찾아봐야 합니다. 이렇게 한숨이 나올 때 섭취하면 좋은 식품이 애간장의 열을 식혀주고 목기를 만들어 간장담낭 경락에 목기를 유통시킬 수 있는 신맛 구연산이나 식초음료입니다. 과일주스에 구연산을 ..
[식품미(味,美)학] 자두의 환상적인 맛을 즐기는 방법 계절은 어김없이 계절과일을 생산해 내고 이제 자두의 철이 돌아왔습니다. 자두는 그냥 먹어도 맛있지만 더욱더 환상적인 맛을 경험하기 위해 1차로 자두청을 담은 후 2차 가공하여 자두주스로 마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모든 주스의 간은 원당과 구연산의 적절한 배합에서 나옵니다. 자두주스는 자두 자체의 맛을 기본으로 맛의 깊이를 깊게 해주는 역할이 구연산입니다. 대부분의 과일주스는 과일즙이 아닌 이상 과일 자체의 맛만으로 맛의 깊이를 낼 수 없습니다. 간담을 좋게 하여 목기를 생산하는 신맛 구연산에는 반드시 비위장의 극을 예방하기 위한 단맛이 들어가야 간도 맞고 상극에너지로 인한 문제가 해결됩니다. 이것이 신맛에는 반드시 단맛이 함께 하여 새콤달콤함으로 표현..
[음식의학] 간의 열과 피로도를 줄여주는 식품 몸이 피곤한 이유중의 많은 부분이 간에서 발생한 열때문입니다. 간은 쉬지 않고 혈액을 심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정신이나 육체노동을 많이 할 수록 간의 활동이 더 많아지게 되고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간은 눈과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간의 열로 인해 눈이 시리고 눈물이 나고 눈을 제대로 뜰 수 없을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간에서 발생한 열은 근육에 쌓여 근육을 피로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간의 열을 식히고 간이 혈액의 해독작용을 잘 하도록 도와주는 식품이 신맛입니다. 눈이 시리고 제대로 눈을 뜨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신맛주스나 식초음료 등을 마시면 눈이 반짝 떠집니다. 그래서 이러한 신음료를 비로소 해독주스라고 할 수 있지요. 간의 열과 피..
[음식의학] 어린시절 오줌싸개가 성인이 되어서도? 어린시절 초등학교 저학년때 까지도 자다가 이불에 지도를 그리는 체질이 있습니다. 바로 금형체질인데요. 금형체질은 장부중 폐장을 가장 크게 가지고 태어나 폐의 금기가 간장담낭의 목기를 극(금극목)하는 상극관계에 놓여있습니다. 근육을 지배하는 간장담낭이 극을 당해 약해지면 근육으로 된 괄약근도 약해져서 잠을 자던중 자신도 모르게 괄약근이 풀어져 오줌을 싸게 되는 것입니다. 어른이 되어서는 어렸을 때 처럼 매일밤은 아니지만 힘든 일이나 운동으로 몹시 피곤한 상태에서 잠을 잘 경우 자다가 무의식적으로 괄약근이 열리면 역시 이불에 지도를 그릴 수도 있습니다. 어렸을때나 어른이 되어서 이불에 오줌싸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장담낭을 튼튼하게 하여 괄약근의 근육을 ..
[식품미(味,美)학] 간장담낭에서 목기를 만드는 신맛 식품 우리몸에서 木氣가 부족하면 피곤하고 간담이 힘들어합니다. 간담경락 신체부위의 통증을 통해 목기가 허기졌다는 사인을 주기도 합니다. 이럴때는 간장담낭이 목기를 생산할 수 있는 신맛음식을 섭취해야 허기와 통증이 해결됩니다. 신맛의 대표식품은 비타민C의 원료인 구연산(Citric Acid), 감식초, 팥, 보리 등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과일이나 음료수의 새콤한 맛이 구연산임에도 불구하고 빨래하는데만 구연산을 사용하는 분들 중에 구연산이 원래 식품에서 추출하는 식용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생명유지에 필요한 목기의 신맛을 공급하기 위해 수 많은 과일과 곡식이 신맛을 담고 있습니다. 신맛 곡식에는 귀리, 메밀, 밀,보리, 강낭콩, 완두콩..
[식품미(味,美)학] 인류에게 필수 살균식품 3인방 일상에서 가장 친숙한 양념 세가지가 있습니다. 그 세가지는 삼투압 원리에 의한 절임식품에 필수 양념으로 균이 함부로 침투하지 하는 강력한 살균작용을 합니다.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세가지가 한번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신맛 식초 또는 구연산(목기), 단맛 설탕(토기), 짠맛 소금 (수기)이 바로 그것입니다. 고전의학 황제내경에 의하면 신맛, 단맛, 짠맛은 각각 간장담낭, 비장위장, 신장방광을 관리하는 아주 중요한 식품입니다. 신맛을 섭취하면 간장담낭에서 목기를 생산하여 토기를 극하므로(목극토) 식초에는 단맛을 함께 섭취해야 하고 단맛을 섭취하면 비장위장에서 토기를 생산하여 수기를 극하므로(토극수) 설탕에는 소금을 함께 섭취해야 독으로 작용하는 극을..
[식품미(味,美)학] 핫생딸기차 그 향과 맛의 아름다움! 요즘 시즌에 가장 두드러진 음료는 단연코 핫딸기차입니다. 닥터비건 까페에 오는 대부분의 고객이 즐겨찾는 핫딸기차의 딸기향은 맛 이전에 후각에서 행복호르몬을 내뿜어줍니다. 닥터비건 까페에 와서 마시는 것으로 모자란 분들은 딸기청을 주문하여 집에서 가족과 함께 핫딸기차를 마시는 분도 있습니다. 핫딸기차의 향과 맛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적정선에서 닥터비건의 레시피가 만들어졌으며 한 번 맛보면 누구나 좋아합니다. 닥비비건은 딸기시럽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100% 국내산 생딸기와 브라질산 유기농 원당, 오스트리아산 무수구연산 그리고 불소없는 생수만 사용하여 핫딸기차를 만듭니다. 딸기가 끝나는 시즌까지는 아마도 핫딸기차가 대세일 듯 합니다. 피곤할 때는 새콤..

[음식의학] 핫딸기차의 매력! 닥터비건 까페에서 현재 가장 인기있는 차는 생딸기로 만드는 핫딸기차입니다. 왜 인기가 있는지는 직접 맛을 봐야 이해가 될 것입니다. 모든 과일은 그 하나하나의 고유한 맛과 특성과 기능적 역할이 있기 때문에 특정 맛을 제거하는 대신 그 맛을 최대한 살려서 이익을 얻어내야 합니다. 시중에서 파는 99.99999%의 음료는 식품첨가물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닥터비건에서는 거의 모든 음료를 즉석에서 신선하게 제조하되 과일시럽을 사용하지 않고 과 그리고 과 만을 사용합니다. 딸기 시럽에서는 절대 만들어 낼 수 없는 생딸기의 즙과 향이 유기농원당의 삼투압작용으로 생성되는 신맛과 단맛의 조화가 따뜻한 온도와 함께 후각과 미각 그리고 간담을 행복하게 해줍니다. 이 계절에 핫유자차 음료와 더..
[음식의학] 체내합성 항산화물질, 비타민C의 원료가 바로 구연산! “인간의 간세포에는 비타민 C 합성 능력의 흔적이 남아 있지만 모종의 유전자 조작에 의해 체내 비타민C 합성능력이 없어졌다고 합니다. 비타민 C는 전자를 나눠주고도 자신은 Free Radical 로 바뀌지 않는 대표적인 항산화물질로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음식을 먹고 몸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면 부산물로 산화물질(free radical)이 생성되고 우리 몸속에 퍼지기 시작하면서 비타민C(antioxidant) 를 자체 합성해 낼 수 없는 인간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지요. 빛이 부족한 분자는 옆 세포에서 빛을 땡겨 오고 빛을 빼앗긴 분자는 또 옆 세포에서 빛을 땡겨 오는 등 “빛” 돌려막기에 나선 화학반..
[음식의학] 피곤을 다스리는 세가지 식품 피곤에서 자유로워지려면 1. 체내 전기가 제대로 만들어져야 원기가 충분하고 2. 몸에 쌓인 독이 매일매일 해독되어져야 하고 3. 그 바탕에 에너지가 충만해야 합니다. 1. 몸의 전기는 세포벽을 사이에 두고 나트륨과 칼륨이 세포벽을 왕래하며 만들어 냅니다. 그러나 전해질 식품인 소금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전기가 만들어지지 않아 원기가 부족하여 힘이 없게 됩니다. 2. 간을 건강하게 만들어 해독작용을 잘하게 하는 식품은 식초나 구연산 등의 신맛식품입니다. 3. 몸의 에너지원은 섭취된 음식을 분해하여 만들어진 포도당입니다. 결국 일상의 밥상에서 음식의 양념으로 흔하게 사용되는 소금, 식초, 설탕이 하루의 피곤조차 제거하는 강력한 무기인 셈입니다. 그러니 피곤에 쩌든..